"눈이 자꾸 뻑뻑해서 힘듭니다" 안구 건조증 자가진단 및 관리법까지 알아가세요
많은 사람들이 컴퓨터, 스마트폰, 렌즈 등등의 이유로 인해 안구건조증을 가지고 있는데요
안구 건조 증후군은 눈 표면에 충분한 윤활 및 수분이 부족해 발생하는 질병입니다
또 어떤 사람들은 눈물의 구성이 불균형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만약 건강한 눈물이 나오지 않거나 눈물 증발이 가속화되면 눈은 염증과 진행성 질환에 취약해지기 때문에 관리가 필요합니다
그럼 지금부터 안구건조증 자가 진단과 함께 관리법까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안구건조증 자가진단 체크
안구건조증 자가진단 결과 4개 이상 해당이 된다면 안과에 방문하시어 적절한 치료를 통해 눈 건강을 지켜야 합니다
안구건조증 치료 방법 및 개선 방법
1. 가장 기초적이고 효과적인 점안액 사용
일반적인 건조한 눈에는 인공 눈물을 넣으면 되지만 더 상태가 안 좋을 때는 안구 윤활 젤도 생각해 볼 수 있습니다
안구 윤활 젤은 시야 왜곡이 있고 이물감이 있기 때문에 잠이 들기 전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2. 오메가 3는 안구 건조에 필수 건강 성분
많은 안과 전문의들은 환자들에게 오메가3를 추천하고 있습니다
오메가3 보충제는 눈물의 삼투압과 매트릭스 양성을 크게 감소시켜 안구 건조증에 효과가 있다고 합니다
3. N-아세틸-시스테인 (NAC)
장기적으로 안구 건조증은 눈의 각막 표면에 점액의 플라크를 발생시킬 수 있습니다
NAC는 이러한 플라크를 녹이고 눈의 건강을 개선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4. 피지선 온열 요법과 온열 안대
따뜻하고 젖은 천을 사용하여 눈에 가벼운 압력을 가하면 눈의 피지선을 자극하고 활성화시켜 안구의 윤활 효과를 높입니다
또한 온열 안대 등을 이용해 눈을 따뜻하게 하면 눈 주변의 혈액 흐름을 활성화시킵니다
5. 가습기와 공기청정기 사용
공기청정기는 집안의 공기 품질을 높이는 데에 도움이 되고 가습기는 집의 습기를 개선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이 두 제품은 안구 건조 증상을 완화시키는 데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6. 바람이나 먼지가 많은 상황에서의 보안경 착용
바람이나 먼지가 많이 부는 환경에 거주하는 경우 안경을 착용하면 먼지나 바람으로부터 눈을 보호할 수 있습니다
안경테 주변이 막혀있는 '랩 어라운드 안경'은 특히 눈에 먼지와 바람을 피하는 데에 도움이 됩니다
7. 담배 연기를 피해라
담배 연기는 눈을 건조하는 데에 일조합니다
흡연이나 간접흡연 모두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8. 수분 유지
탈수로 인해 안구 건조, 두통, 눈의 피로 및 시력이 흐려질 수 있습니다
성인은 매일 6~8잔의 물을 마셔야 합니다
9. 자주 깜박이거나 눈을 감는다. 그리고 휴식을 갖는다
깜박거릴 때 눈물이 눈에 뿌려지므로 깜박임 사이의 시간이 길어지면 증상이 악화될 수 있습니다
그리고 화면을 보는 시간을 줄이고 눈을 쉬기 위해 주기적으로 휴식을 취하세요
10. 밤에는 블루라이트 차단 안경을 쓰면 도움이 된다
잠자기 몇 시간 전에 '블루라이트 차단 안경'을 쓰면 눈의 피로가 줄어듭니다
더불어 잠자기 전에 멜라토닌 생산량을 늘려 수면에도 도움이 됩니다
11. 콘택트렌즈 사용 제한
콘택트렌즈를 끼는 사람이 안구건조증이 오래 있다면 콘택트렌즈를 빼고 당분간 일반 안경으로 교체합니다
콘택트렌즈로 인해 눈이 건조해질 수 있습니다
12. 가벼운 눈 마사지나 지압도 효과적
눈 지압법이나 눈 마사지를 사용하면 혈액 순환과 윤활 기능을 활성화해 안구 건조증 환자의 증상을 감소시킬 수 있습니다
13. 활발한 운동
활발한 운동은 혈액의 흐름을 촉진시키고, 신체의 온도를 올려 눈에 오일의 방출을 촉진시킨다고 합니다